(점프 투 스프링부트) 2장 스프링 부트의 기본 기능 익히기(하)
전체코드 Github 2.6 도메인 별로 분류 도메인이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클래스를 말한다. 도메인을 별도의 패키지로 분류하여 관리하면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진다. 도메인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도메인 패키지 생성 2) 도메인별로 패키지 생성 3) 도메인별로 엔티티, 레포지터리, 서비스, 컨트롤러를 생성한다. ...
✓ 서비스 개요
개발자 취준생 AI지원 서비스
✓ 주요 역할
개인프로젝트
✓ 주요 기술
✓ 주요 성과
✓ 서비스 개요
AI, 위치기반을 활용한 실종 반려견 매칭 서비스
✓ 주요 역할
팀장
✓ 주요 기술
✓ 주요 성과
✓ 서비스 개요
주식 포트폴리오 관리 서비스
✓ 주요 역할
팀장
✓ 주요 기술
✓ 주요 성과
전체코드 Github 2.6 도메인 별로 분류 도메인이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클래스를 말한다. 도메인을 별도의 패키지로 분류하여 관리하면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진다. 도메인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도메인 패키지 생성 2) 도메인별로 패키지 생성 3) 도메인별로 엔티티, 레포지터리, 서비스, 컨트롤러를 생성한다. ...
전체코드 Github 2.1 스프링부트 프로젝의 구조 이해하기 스프링 부트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project-root/ ├── src/ │ ├── main/ │ │ ├── java/ │ │ │ └── com/ │ │ │ └── example/ │ │ │ └...
1.1 스프링부트란 스프링 부트(Spring Boot) 는 웹 프로그램(웹 애플리케이션)을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바의 웹 프레임워크이다. 웹 프레임워크 정의 : 웹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필요한 기능들을 미리 만들어 놓은 것 장점 : 개발자가 필요한 기능을 직접 만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React ToDO List 만들기 1. 프로젝트 세팅 Node.js 설치 npm으로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 npm create vite@latest √ Project name: . #현재 디렉토리에 설치 √ Package name: todoapp √ Select a framework: » React √ Select a...
REST API 실습 yml 파일 세팅 JPA 세팅 DataBase 세팅 GitRepo RestAPI 요청 체계 게시물 목록 : GET http://localhost:8080/articles 게시물 등록 : POST http://localhost:8080/articles 게시물 단건 조회 : GET http://localh...
REST API 정의 : 행위를 HTTP 매서드로 구분 메서드 GET : 조회 POST : 생성 PUT : 수정(일부 수정) DELETE : 삭제 PATCH : 수정(모든 데이터 수정) SSR방식과 REST API의 차이 기존 API REST API ...
SSE(Server-Sent Events)방식 구현 SSE 개념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단방향으로 메시지를 보내는 기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연결을 유지한 채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보내준다. HTTP/1.1 스펙에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라이브러리 없이 사용 가능하다. 주로 실시간 업데이트가 필요한 웹 페이지에서 사...
Polling, SSE 기반 통신 Http 통신 기반 : 무상태, 요청/응답 방식 Polling 방식으로 채팅 구성하기 controller 구현 ```java #### Stream 적용하기 2. dto 구현 ```java recode 타입 vo 구현 ```java 4. result 구현 ```java Port 번...
OT 강의 소개 교육과정 소개 채팅서비스 구현하기 HTTP를 활용한 통신방식 HTTP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만 응답을 하기 때문에 실시간 통신을 구현하기 어렵다. 폴링방식, 롤폴링방식을 활용한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거나, SSE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간 통신을 구현 할 수 있다. 폴링 방식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주...
무선으로 통신하기 무선랜의 개념 무선랜은 케이블이 없이 통신하는 네트워크이다. 무선랜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다. 무선 액세스 포인는 유선랜과 무선랜을 연결해주는 장치이다.